-
82
- 2024학년도 2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개최
- 2024학년도 2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 개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9편, 학과 우수논문상 51편, 장려상 97편 선정- 대학원은 대학원생의 연구 의욕 고취와 내실 있는 대학원 학문 풍토 조성을 위해 1993년 이래 매년 대학원생 우수논문을 선정·시상하고 있다. 특히, 2021학년도 2학기부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로 개편돼 수상 인원과 상금이 확대되었으며, 각 학문 분야의 연구를 더욱 장려하기 위해 단과대학 최우수논문, 학과 우수논문, 장려로 구분해 시상하고 있다. 2024학년도 2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 심사에는 각 학과와 단과대학에서 총 167편의 논문을 추천했다. 분야별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9편, 학과 우수논문상 51편, 장려상 97편이 최종 선정됐다. 1월21일(화) 오후 3시 대학원 스팀슨관 대회의실에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가 진행됐다. 각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들은 수상 논문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수상 소감을 나누었으며, 본인의 연구가 다양한 전공과의 융합연구로 어떻게 확대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도 함께 나누었다. 이날 김현철 대학원장은 “연세대학교 학부생들이 최고의 영예를 안는 상이 최우등상이라면, 대학원생에게 가장 큰 영광은 바로 오늘 이 자리에 서 계신 여러분이 수여받은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이라 생각한다.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은 여러분의 앞날에는 무궁한 가능성과 성장이 기다리고 있음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라고 격려했다. 간호대학 최우수논문 수상자인 간호학과 김라영 박사는 “단과대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게 되어 정말 영광이며, 열심히 지도해주신 교수님과 간호대학의 적극적인 연구지원 환경 덕분에 연구에 몰입할 수 있었다. 다양한 분석 기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의 기회와 연구 회의를 통해 연구자로서 시야를 넓히고 깊게 고찰하여 작성한 논문이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으로 선정되어, 무척 기쁘고 보람된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에서 학부, 석사, 박사과정을 수련한 학문과 연구 역량에 자부심을 갖고 좋은 교수자, 연구자가 될 수 있도록 정진할 것이며, 지역사회의 의료접근성을 높이고 건강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또한, 신과대학 최우수논문 수상자인 신학과 신수정 박사과정생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한결같이 따뜻하게 격려해 주신 지도 교수님과 가족들의 배려가 있었기에 논문 쓰기의 어려움을 무사히 극복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연세대학교에서의 귀한 배움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는 상담자이자 연구자, 교육자로 활동하고 싶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2024학년도 2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수상자들의 논문은 다음과 같다. 구분 지원형태 소속 성명 논문제목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학위논문 사학과 최민규 조선전기 주희 문헌 연구와 사대부 성학론 신학과 신수정 비자살적 자해 여성의 자해중단 과정 : 20-30 여성을 중심으로 혁신학과 안지아 대화오류에서 대화재개로 : 과업중심 대화형 에이전트의 내러티브 기반 대화오류 수리 전략 디자인 법학과 오채은 가상자산의 형법적 성격 : 재물성 및 재산상 이익성 검토를 중심으로 학술논문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신용민 PAGE : 프로토타입 기반 모델 수준 해석을 위한 그래프 인공신경망 신소재공학과 배지홍 양이온 유택시를 통한 III-V계 반데르발스 결정의 멤리스터 반도체로서의 활용 생명과학부 (생명공학) 백승빈 Integrative single-cell characterization of a frugivorous and an insectivore bat kidney and pancreas 컴퓨터과학과 김동영 다중 광원 화이트 밸런싱을 위한 어텐션 기반 조명 분해 모델 사회학과 송준모 코로나19 판데믹 상황에서 정책 정보 확인과 시민의 정부에 대한 태도 : 한국에서의 서베이 실험을 통한 검증 의류환경학과 정지원 공압 패브릭 액추에이터가 부착된 손가락 움직임 보조 장갑 개발 스포츠응용산업학과 김은찬 여가 신체 활동과 저항 운동이 한국 성인의 우울증 증상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약학과 김형윤 시스테이닐-tRNA 합성효소 1에서 유래한 내인성 TLR2/6 리간드를 통한 항원제시세포에 대한 암 백신의 특정 표적화 의학과 정영수 클레멘트 : 비종양성 조직에서의 클론 분해와 재조합 알고리즘 응용생명과학과 김민지 박테리아 부착 저항효과를 가진 양극성 이온이 통합된 나노결정 세라믹 폴리머 CAD-CAM 블록의 개발 간호학과 김라영 Network visualization to interpret which healthcare services are central to people living with HIV 국어국문학과 염창동 한국전쟁기 배신의 기원, 복수의 구조 -이청준의 「숨은 손가락」 다시 쓰기/읽기- 패키징학과 김민휘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corrugated fiberboard boxes with edge vents for ambient loading of Chinese cabbage : Part I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전산학과 변준 Optimizations of Neural Audio Coder Toward Perceptual Transparency 바이오융합협동과정 WANG, JIANMIN 트랜스포머 기반 생성 모델을 이용한 단백질-단백질 복합체의 구조적 앙상블 탐색 학과 우수논문상 학위논문 중어중문학과 현영희 동아시아 <우렁각시> 유형 설화 연구 영어영문학과 권나윤 셰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와 『코리올레이너스』 속 포식 동물과 피식 동물 철학과 권건우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속 일심(一心)의 이중적 성격과 그 문제 문헌정보학과 채현수 대학도서관 디지털 서비스의 기능 명칭 표현에 관한 연구 언어정보학협동과정 WANG, XIAONAN KULTURE Bench : 한국 문화 맥락에서의 언어 모델 역량 평가를 위한 벤치마크 수학계산학부(수학) 조유승 정상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리우빌 정리와 연관된 방정식으로의 확장 생명과학부 (시스템생물학) 조예람 CRISPR/Cas13a 바이오센싱 기반 어위니아 아밀로보라 검출 기술 연구 융합오믹스 의생명과학 협동과정 권태현 RBM14와 WTAP의 O-GlcNAc 수식화 기능 연구 정치학과 최서영 초국가적 입양으로 경계 지어진 사람들 : 한국계 프랑스 입양인 기억의 중층 번역을 통해 국제질서 바라보기 언론홍보영상학과 강민혁 숏폼(Short-Form) 뉴스 특성에 관한 연구 : 정규 방송 뉴스를 토대로 재생산된 숏폼 뉴스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인류학과 김민수 산업 자본주의와 기술 봉건주의의 경계에서 : 국내 인쇄업 생태계에 대한 문화기술지 음악학과 이민규 보르트키에비치(Sergei Bortkiewicz, 1877-1952)의 피아노 작품에 나타나는 다양한 음악양식 : 《피아노 소나타 2번》(Op. 60)과 《판타지슈트케》(Op. 61)를 중심으로 식품영양학과 이인호 박테리오파지 칵테일을 활용한 항 살모넬라균 식품흡수패드의 개발 및 계육 삼출물 모델에서의 항균활성 분석 체육학과 전형규 발목 부상 환자의 운동역학적 특성과 장기적 예후 의료기기산업학과 최재이 암 검진 및 약물 전달을 위한 지질 나노입자의 활용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최솔미 원발진행실어증의 초분절적 발화 특성 의학전산통계학 협동과정 이예지 의존적 중도절단이 존재하는 경우 두 그룹의 제한된 평균 생존 시간 비교를 위한 통계적 방법 학술논문 국어국문학과 고하영 <화조가>의 이본 분석과 주제적 의미 심리학과 허청라 아동기 사회경제적 지위와 현재 직업 불안정성 간의 상호작용 : 괜찮은 일과 안녕감에 대한 이중 맥락적 접근 인지과학협동과정 김예주 양자어닐링 알고리즘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과 인지과제 수행 중 전전두엽 fNIRS 신호 간의 관계 연구 경영학과 왕박한 Determinants and Value Implications of Corporate ESG Bond Issuance : Evidence from South Korea 물리학과 성해솜 K1/K* enhancement in heavy-ion collisions and the restoration of chiral symmetry 화학과 이승원 자극에 감응하는 이합체 형태의 분자스위치 지구천문대기학부 (천문우주학) 차상준 MARS 알고리즘으로 얻은 A2744 은하단의 정밀한 질량 재구성 : JWST 관측으로부터 얻은 가장 큰 강중력렌즈 및 가장 밀도높은 약중력렌즈 데이터 세트의 시너지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박효진 지역 피드백과 ENSO는 인도양 쌍극자의 변동성과 계절동기화의 십년단위 변화를 제어한다. 화공생명공학과 LU, YUAN 표면 원자 공학된 BiVO4 광전극을 이용한 글리세롤의 태양광 구동 고선택적 이수화작용 아세톤 전환 전기전자공학과 황준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위상 교차 분산 증폭기를 이용한 초광대역 및 저잡음 초소형 준순환기 건축공학과 박준수 스테레오 이미지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단면도 자동 재구성 모델 도시공학과 추미진 도시 공간구조와 이동성이 COVID-19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종합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건설환경공학과 박지민 화강암 수압 파쇄 균열 형상에 미치는 유체 주입 속도와 점성의 영향 :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균열 검출과 형상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계공학과 김영원 바이너리 종양 미세환경-온-어-칩을 통한 이방성 종양 스페로이드 관해 산업공학과 안시현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지하철 네트워크의 경제적 효과 인공지능학과 김찬영 객체 중심 비지도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고유 집계 학습 글로벌융합공학 한승우 레이저를 통한 금속-유기 골격체 합성과 메모리 및 뉴로모픽 소자 응용 행정학과 오서은 능력주의와 한국 시민사회의 위기 : 분배 정의가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협동과정 이태엽 발달장애인 맞춤형 시력검사도구 개발 : 리빙랩(Living Lab) 방식을 활용하여 실내건축학과 유영진 생성형 AI 기반 초기설계단계 외관디자인 시각회 접근방안 - 건축가 스타일 추가학습 모델 활용을 바탕으로- 아동·가족학과 강미선 What links digital skills to life satisfaction later in life? The roles of digital benefits and living arrangements 생활디자인학과 윤호영 디자인에서의 어셈블리지 기반 이해관계자 분석 : 탈인간중심주의의 렌즈를 통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제약산업학 협동과정 오재승 65세 이상 만성질환자의 가구형태와 복약순응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의과학과 최상원 단백질-에너지 제한에 의해 유도된 지질 대사 교란이 Mycobacterium avium 감염 마우스에서 안정형 질환을 진행형 질환으로 전환시키는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보건학과 박수민 한국 성인에서 독거와 범불안장애의 연관성 의료법.윤리학 협동과정 유자영 장기 기증 및 이식 코디네이터의 윤리 교육 경험과 필요성 치의학과 송지혜 제1소구치 발치 환자에서 인비절라인과 고정식 장치 치료 결과 비교 경영학과 문승환 이사회 다양성이 ESG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외이사의 성별 다양성, 국적 다양성, 연령 다양성, 전문성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과 최석열 ‘재조(在朝)’가 남긴 잔여, ‘트라우마’의 역사적 증언의 가능성 - 다나카 히데미쓰(田中英光)의 문학을 중심으로 - 화학과 김찬우 미토콘드리아 표적 광역학 치료를 위한 트리페닐포스포늄 기능화된 이량체 BODIPY 기반 나노입자 보건행정학과 이정원 한국 청소년의 일주기 유형과 자살생각의 관련성 물리치료학과 XIE, LINGCHAO 보행자 회피 기술 향상을 위한 VR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 무작위 대조 시험 방사선융합공학과 최형주 Performance Evaluation of Yonsei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YSECT) for Partial-defect Inspection within PWR-type Spent Nuclear Fuel 치위생학과 박성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한국노년치과학회 선별 질문지와 구강 노쇠 진단 기준의 타당성 검증 장려상 학위논문 국어국문학과 GUO NING 한국어 추측 양태 표지 연구 : 문장 유형별 특성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과 LIU, RENBO 한국어 교사 전문성 요인 설정 연구 : 수행 기준 기반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과 최민경 엠지(MZ)세대 관련 담화에 대한 비판적 담화 연구 : <MZ 오피스>를 중심으로 중어중문학과 송화영 현대중국어 ‘打+NP’ 구문의 의미 확장 연구 중어중문학과 박종수 『列國前編十二朝傳』의 출판과 중국신화 역사연의화 연구 영어영문학과 김도희 Examining L2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Count/Mass Distinction : A Focus on L1 Transfer 영어영문학과 Tan, Roxanne Yu Xian 영원한 체류자와 사라져가는/잊혀진 고국 : 영미권 최근 말레이시아 문학에 드러난 말레이시아 화인 정체성의 (재)구축 철학과 김지우 『순수이성비판』에서 공간 통일과 지성 종합 간의 관계 문제 : B160 각주를 중심으로 경영학과 박관호 AI 화가 : 그림 공유 플랫폼 유저에 대한 분석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유지희 행성파의 현장 발생과 중층대기에 미치는 영향 전기전자공학과 강교원 무기물 물질 기반의 유연/신축 바이오일렉트로닉스를 통한 손상된 신체 기능 보조에 관한 연구 건축공학과 이정아 공동체주택 세대별 마주침 공간의 건축적 요소 분석 : 홍은 써드플레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건설환경공학과 이도연 표면 개질된 탄소 기반 광촉매를 활용한 태양광 에너지 기반 과산화수소 합성 및 에너지/환경 분야 응용 인공지능학과 김태웅 데이터 부족 환경에서의 다중 모달 기반 계획 및 효율적인 재계획을 수립하는 에이전트 신학과 박성원 여성 1인 가구의 관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신학과 조미연 기후위기 시대의 탈인습적 기독교 생태교육모형 연구 정치학과 최영준 균형 행위: 힘의 이동과 군사적 갈등의 그림자 속 경제 제재 행정학과 백지선 공공과 민간 부문은 성과관리와 경쟁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 조직 의사결정의 차이에 관한 분석 언론홍보영상학과 김재연 동적 규범이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프레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언론홍보영상학과 이휘란 인공지능 챗봇의 의인화가 사용자의 차별 발언 중단의도와 챗봇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학과 FANG, ZHENYI 진실은 거짓을 따라잡을 수 있는가? : 유튜브에서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의 확산 특징과 정보 유형에 따른 이용자 반응 분석 의류환경학과 TONG, ZHENGHAO 의류기업의 다차원적 사회적 책임(CSR)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소비자의 CSR 동기 인식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학과 장혜인 SNS상의 비자살적 자해 위험군 식별과 유형화 : 머신러닝 모델의 적용과 텍스트마이닝의 활용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이태호 수술 후 위암 환자 운동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무작위 대조 연구 의과학과 김리정 항암화학요법으로 유발된 말초신경병증에서 교세포와 내인성 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을 통한 JZL195의 통증 조절 기전 규명 의과학과 한승한 호흡기 염증에서 대식세포 아형의 기능 및 조절 기전에 대한 연구 의과학과 백세움 이질성이 높은 간암 환자 조직으로부터 재발성 세포 분리가 가능한 칩 개발 언어병리학협동과정 김현수 원발진행실어증의 발화 위치 및 품사별 쉼 특성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정지아 뮤지컬 배우의 음성피로도 지수 및 가창음성장애지수에 대한 영향 요인 언어병리학협동과정 한소라 원발진행실어증의 연결발화 어휘 및 구문 활용 특징 의학전산통계학 협동과정 임현진 클래스 불균형 자료에서 데이터 분할을 통한 FDR 통제하의 변수 선택 방법 간호학과 박혜란 가상현실 오류의 방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학습 기반 낙상과 투약 오류 예방교육의 개발 및 예비평가 간호학과 심선영 누적된 저소득 수준에 따른 심혈관 사건 발생 위험과 건강행동 변화의 매개효과 보건행정학과 박지해 지역 소멸수준에 따른 외래 의료이용 차이 분석 보건행정학과 정윤지 지역별 총진료비와 회피 가능 사망률 간의 관계 분석 보건행정학과 송은미 코로나19 긴급대응 ODA 프로그램의 경제성 평가 : 우즈베키스탄 사례를 중심으로 학술논문 중어중문학과 이영란 현대중국어 ‘V成’과 ‘V为’ 구문의 생산성과 통계적 선점 분석 영어영문학과 안유진 노라 옥자 켈러의 『종군위안부』(1997)에 나타난 정체성과 고통, 그리고 사랑에 대한 재해석 철학과 윤유석 현상학자, 시인, 신의 관점 : 하이데거의 초월론적 사유에 대한 비판 심리학과 이세란 Decent Work Profiles of Korean Workers: Antecedents and Outcomes of Profile Membership 심리학과 김진석 Childhood Socioeconomic Status Shapes Beliefs About Hedonic Versus Eudaimonic Happiness : A Life History Approach 인지과학협동과정 유영재 의인화된 음성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 성 고정관념 조사 연구 화학과 이유진 친환경 푸른빛 양자점의 결정학 구조와 광물리적 특성의 상관관계 화학과 백진수 Precisely Programmable Degradation and Drug Release Profiles in Triblock Copolyether Hydrogels with Cleavable Acetal Pendants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김동철 Gaussian Mixture Model-Based Cloud - Phase Estimation From GEOKOMPSAT-2A Observations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안찬우 Characteristics of new particle formation events occurred over the Yellow Sea in Springtime from 2019 to 2022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박준 TPTNet : 난류 잠재 온도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기반 온도 예측 모델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현예솔 파과 곡선을 활용한 가스 정화 과정의 베이지안 예측 모델링 화공생명공학과 오경석 전고체 리튬 유기 전지를 위한 이온-쌍극자 상호작용 기반 무용매 공유 유기 골격구조 단이온 전도체 전기전자공학과 천선영 DaCapo : 효율적인 완전 동형 암호화를 위한 자동 부트스트래핑 관리 전기전자공학과 홍주영 최소침습형 뇌신경 임플란트를 위한 주사주입식 이차원 물질 기반 센서 어레이 건축공학과 육현성 보존과 활용의 균형 : 역사적 근대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위한 창문 리트로핏 전략 건축공학과 PIAO, RONGZHEN 탄소나노튜브와 섬유를 이용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열전기적 특성 구현 도시공학과 구한민 도시재활성화사업이 지가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 우리나라 성남시 사례 연구 건설환경공학과 남동건 콘관입시험에 기반한 모래 지반의 정지토압계수 평가 방법 기계공학과 이우석 고효율, 코크-프리 건식 이산화탄소 고체산화물 전기분해 셀 기계공학과 남강식 금 나노로드 기반 플라스모닉 PCR을 통한 공기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공기 포집 및 동시 검출 기계공학과 오재호 사전 측정된 입자 크기 분포 기반 2단 저압 임팩터와 에어로졸 전류계를 이용한 서브마이크론 에어로졸 유효 밀도 결정 신소재공학과 정재용 Fv-항체와 스위칭 펩타이드를 활용한 SARS-CoV-2 원-스텝 면역 진단법 신소재공학과 이상훈 3차원 액체금속 미세 전극을 통한 망막 오가노이드 발달의 전기생리학적 분석 신소재공학과 이자경 전기 간섭을 활용한 압력 감지 트랜지스터 결합 투명 디스플레이에서의 일관된 촉각 구현 생명과학부 (생명공학) 차준하 Single-cell analysis reveals cellular and molecular factors counteracting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 immunotherapy outcomes 생명과학부 (생명공학) 주혜빈 폐 오가노이드 기반 호흡기 시스템 및 질환 모델링 연구의 고도화와 조직공학적 응용 생명과학부 (생명공학) 박세원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 치료제를 강화하기 위한 생명공학적 전략 컴퓨터과학과 하연안 FPGA에서 삼성 Aquabolt-XL 프로세싱 인 고대역폭 메모리의 완전한 활용 컴퓨터과학과 염규환 클래스 상속과 구조적 유사성을 고려한 이중-뷰 지식그래프 임베딩 컴퓨터과학과 이호정 동적 환경 적용을 위한 방향전환보행 전략의 선택적 전환 인공지능학과 최정환 PANDA : 리와이어링을 넘어선 확장된 폭 인식 메시지 전달 글로벌융합공학 김용휘 A State-of-the-art Survey on Full-duplex Network Design 행정학과 박영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김포골드라인 이용자의 교통수단별 효용 및 한계지불용의금액 분석 - 차내 혼잡도 속성을 중심으로 - 행정학과 박예종 TOE 모형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기반행정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학과 송민이 한국사회는 돌봄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 2013~2023년의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정승연 복수전공은 누가, 어떻게 선택하는가? 젠더, 사회경제적 지위, 제도적 자원의 상호작용 실내건축학과 채수민 BIM기반 공간객체 상세모델링 및 시각화 - 고령자 신체특성을 반영한 욕실 컴포넌트객체 상세화 구현사례 - 아동·가족학과 홍지연 소셜미디어 내의 또래 체형규범과 체형관련 또래압력이 초기 여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과대왜곡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학과 정윤교 청소년의 수면 문제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이경은 "공부는 방부제 같아요." 여가로서의 평생교육 스포츠응용산업학과 KIM, JASMYN "다른 나라에서 사는 게 더 나은 삶" : 한국 중장년층 국제이주 사례 연구 체육학과 김경언 기능적 피로 프로토콜과 시각 정보가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자세 제어에 미치는 영향 체육학과 이재현 태권도 품새 지도자의 전문내용지식 비교분석 체육학과 홍은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무용수와 비무용수, 건강한 무용수의 동적 자세 조절 및 발목 관절 이완성 약학과 유정 종양 형성에 있어서 KDM3B 및 KDM3C의 후성유전학적 역할과 치료적 의미 약학과 임성훈 PLD1 is a key player in cancer stemness and chemoresistance : Therapeutic targeting of cross-talk between the PI3K/Akt and Wnt/β-catenin pathways 약학과 이재윤 Streptomyces xinghaiensis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 Xinghamide A 의학과 김정호 캄필로박터 균혈증의 추세, 임상적 특성, 항생제 감수성 양상 및 결과 : 다기관 후향적 연구 의학과 백성욱 불안정 노동과 우울 증상 사이의 연관성 : 한국의 13년 종단연구 의학과 최서희 소수전이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체부정위적 방사선치료의 효과에 대한 전향적 2상 임상 연구 보건학과 전하제 지역 내 협력병원의 평균 수와 인지장애 관련 의료상담 간의 연관성 의료기기산업학과 최현경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a Spinal Surgery Robot:Workload, Usability, and Satisfaction Study 치의학과 정휘 한국 치과대학생 및 치과의사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학년 및 경력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 응용생명과학과 김지회 치열교정 환자의 미세전류 방출 칫솔을 이용한 치태 감소 평가 : 무작위 이중맹검 교차 임상 시험 간호학과 김영경 Frailty of Prostate Cancer Patients Receiving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 A Scoping Review 패키징학과 SINGH AJIT KUMAR Non-conventional starch nanoparticles : Novel avenues towards improving sustainability of the food packaging sector 전산학과 박종훈 Computational drug repositioning with attention walking 물리치료학과 이세영 Characterizing the Compressive Force at L5/S1 During Patient Transfer From Bed to Wheelchair 방사선융합공학과 이수민 Implication of ICRP pediatric reference voxel phantoms on dose assessment of patients in radioiodine therapy 치위생학과 박혜진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구강기능저하에 대한 평가 및 연령과 관련성
- 일반대학원 2025.02.11
- 첨부파일
-
81
- 2024-2학기 대학원 동창회 장학금 수여식 개최
- 2024-2학기 대학원 동창회 장학금 수여 대학원 재학생 2명에게 각 500만원 전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동창회는 지난 10월 7일(월), 오후 5시 스팀슨관 대학원장실에서 2024-2학기 장학금 수여식을 개최하였다. 장학금 수여식에는 홍복기 대학원 동창회장(법학과 명예교수, 前 행정대외부총장), 김현철 대학원장(중어중문학과 교수)을 비롯해 여러 내빈이 참석했다. 동창회 이사진 중 임 용기 이사(전 문과대학장), 김청묵 이사(전 음악대학장), 김홍기 이사(현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2024-2학기에는 장하은 학생(정치학과 박사과정 3학기), 오수연 학생(신학과 박사과정 3학기) 2명이 각 500만원의 장학금을 받았다. 홍복기 동창회장은 축사를 통해 “오랜 전통에 빛나는 대학원 동창회 장학생으로 선정된 것을 축하하며, 앞으로도 연세대학교의 연구력이 증진되고 우리 사회가 발전하는 데 이 동창회 장학금이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김현철 대학원장은 “매 학기 대학원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해 주시는 동창회 임원분들에게 감사를 전하며, 선정된 학생들도 더욱 연구에 매진해 훗날 후배들에게 장학 금을 수여할 수 있는 자랑스러운 선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대학원 동창회는 1967년 설립되어 1971년부터 매 학기 대학원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해 왔으며, 동문들의 기부 및 졸업생들의 동창회비를 재원으로 운영하고 있다.
- 일반대학원 2024.10.18
- 첨부파일
-
80
- 2024학년도 1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개최
- 2024학년도 1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개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8편, 학과 우수논문상 53편, 장려상 118편 선정- 대학원은 대학원생의 연구의욕 고취와 내실 있는 대학원 학문 풍토 조성을 위해 1993년 이래 매년 대학원생 우수논문을 선정, 시상하고 있다. 특히, 2021학년도 2학기부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로 개편돼 수상 인원과 상금이 확대되었으며, 각 학문 분야의 연구를 더욱 장려하기 위해 단과대학 최우수논문, 학과 우수논문, 장려로 구분해 시상하고 있다. 2024학년도 1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 심사에는 각 학과와 단과대학에서 총 192편의 논문을 추천했다. 분야별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8편, 학과 우수논문상 53편, 장려상 118편 총 189편이 최종 선정됐다. 7월23일(화) 오후 3시 스팀슨관에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 시상식이 진행됐다. 김현철 대학원장은 축사 후 각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하였고, 수상자들은 수상 논문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수상소감을 나누었다. 구분 지원형태 소속 성명 논문제목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학위논문 영어영문학과 윤사라 The Ambivalent Detective in Victorian Sensation Novels: Dickens, Braddon, and Collins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신지은 급성기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약물 내성 억제를 위한 FLT3-TAZ 신호전달 표적화 언론홍보영상학과 편미란 유튜브 의존(YouTube Dependency) 척도 개발과 검증: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 의존(Media Dependency)'의 재개념화 및 이론적 확장을 중심으로 교육학과 김은수 신공공관리적 교육개혁의 효과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책무성과 자율성의 조합 및 영향력을 중심으로 법학과 박정은 특별자치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공법적 연구 -지방자치와지방분권의관점에서- 응용생명과학과 최지원 수화된 포틀랜드 시멘트를 이용한 항균 및 재광화 자가 접착 교정용 레진시멘트 개발 학술논문 경제학과 남지형 탄소중립 공정전환을 위한 기후취약계층 정의에 관한 연구: 탄소세 시나리오 분석 경영학과 전흥재 The effect of conscientiousness on managerial learning from stock prices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이예슬 Lower tropospheric states revealed in high vertical-resolution radiosonde data in Korea and synoptic patterns for instability based on a self-organizing map 신소재공학과 정원기 시력복원을 위한 액체금속 기반 3차원 미세전극 어레이가 통합된 초박형 인공망막 컴퓨터과학과 이도해 여러 겹의 의류 착용을 위한 의류 간 상호작용 모델링 신학과 박사무엘 인종-종족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수로보니게 여인 이야기(막 7:24-30) 아동·가족학과 이설아 Long-term effects of childhood difficultie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Role of adulthood income and income satisfaction 약학과 김경환 알츠하이머병 환자 뇌척수액 에서의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 탐지 프로브를 활용한 조기 발병 진단 의과학과 이은지 NSCLC에서 EGFR 활성화 돌연변이 및 표적 저항성에 대한 새롭고 강력한 EGFR 억제제 발견 간호학과 박지수 소아 환자 안전에 대한 디지털 헬스 중재: 주제범위 문헌고찰 국제관계학과 LI, XINYU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Practices as a part of Living Lab Co-Creation: The Case of Public Institutions in South Korea. 의공학과 추유성 Full automation of point defect detection in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hrough a dual mode deep learning algorithm 학과우수논문상 학위논문 국어국문학과 김주성 ‘한글 맞춤법’(1988) 형성 과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 불어불문학과 강연진 『말』에 나타난 자기 이해 문제 : 폴 리쾨르의 해석학에 근거하여 노어노문학과 조서진 러시아어 일성분문장의 주어성에 대한 연구 – 무인칭문을 중심으로 – 철학과 조승호 존재 최소주의와 합리적 존재론: 신카르납주의 메타존재론 심리학과 엄태윤 한국 대학생의 경쟁 성향 잠재프로파일 및 심리적 특성 한국학협동과정 조윤행 담론적 접근에 기반한 한국어 공손성 실현 양상 연구: 비동의 행위를 중심으로 지구천문대기학부(천문우주학) 이원기 On the origin of radio relics in merging galaxy clusters and their implementation in understanding the merger history 건축공학과 전가현 Efficient Management of Defect Complaints in Apartment Building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amed Entity Recognition, Dynamic Text Classification, and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기계공학과 박형률 텅스텐 내 <111>{112} 단일 전위 거동에 수소 원자가 미치는 영향 생명과학부(생명공학) 최수정 조직 재생 촉진을 위한 피로갈롤기 수식 접착 기능성 하이드로젤 개발 디지털애널리틱스융합협동과정 정민화 대조학습 기반 한국어 문장 임베딩 방법론 평가 및 비교분석 정치학과 임현진 Effect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Staff Nationality on Project Procurement: The Case of UN Development Programme 문화인류학과 박성준 야생동물 구조·치료 실천에서 발생하는 공생공락의 윤리: A지역 야생동물구조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협동과정 홍기혜 머신러닝 기반 개인 기부행동 예측모형 : 세대별 일상적 안녕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의류환경학과 조민정 럭셔리 브랜드의 NFT 마케팅 활동이 NFT 고객자산에 미치는 영향 식품영양학과 김도연 크로노박터 사카자키 균의 표적 제어 및 검출을 위한 박테리오파지 및 엔도라이신 엔지니어링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최민경 원발진행실어증 아형별 연결발화의 어휘 및 구문 비교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김민지 관상동맥중재술 관련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 연구: 환자·의사 태도와 의사 경험을 중심으로 의학전산통계학협동과정 장현수 이변량 경쟁위험 생존자료에서 상관성과 주변부 분포 추정을 위한 통합된 모수적 추정 방법 제안 물리치료학과 김수빈 목 통증이 있는 사무직 근로자에 대한 자세 교정 피드백 시스템의 효과 학술논문 중어중문학과 김소윤 현대중국어 감탄문, 반어문에서의 의문대사 작용 기제 연구 사학과 이일규 신라 · 고려 관인의 휴일과 휴가 비교문학협동과정 이재훈 자유의지의 장소로서의 연옥: 단테를 중심으로 인지과학협동과정 김청일 Partial blindness: Visual experience is not rich, but not sparse 언어정보학협동과정 성지민 성격유형별 문체 특성 기반 맞춤형 광고 메시지 자동생성 연구 수학계산학부(수학) 조유승 New Liouville type theorems for the stationary Navier–Stokes, MHD, and Hall–MHD equations 물리학과 박지홍 Visualizing the Low-Energy Electronic Structure of Prototypical Hybrid Halide Perovskite through Clear Band Measurements 화학과 송근무 적응접기와 온도의존 게스트 선택성을 보여주는 이민으로 연결된 나선 수용체의 복합체기반 조립 지구천문대기학부 (지구시스템과학) 신혜인 Fossilized autogenic responses of grain-size transition to sediment supply and water discharge: Alluvial fan experiments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김경현 셀간 편차 및 모듈 구조에 따른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의 성능 평가 화공생명공학과 권용현 Approaching Theoretical Limits in the Performance of Printed P‐Type CuI Transistors via Room Temperature Vacancy Engineering 전기전자공학부 권재원 McCore: A Holistic Management of High-Performance Heterogeneous Multicores 도시공학과 김주영 Predicting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housing affordability stress: Evidence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건설환경공학과 김주현 센서 융합과 딥러닝을 이용한 임시구조물 설치 과정에서의 안전망을 고려한 점군 데이터 정합 방법 산업공학과 최가현 가격 공정성: 청정 에너지 주식과 전체 시장 생명과학부 (시스템생물학) Yadavalli Hari Chandana Tailed-Hoogsteen Triplex DNA Silver Nanoclusters Emit Red Fluorescence upon Target miRNA Sensing 인공지능학과 김병휘 지시 수행 임바디드 에이전트를 위한 맥락 인지적 행동 계획 수립 및 환경 인지적 메모리 IT융합공학과 한승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초저 스위칭 전압 달성을 위한 레이저 변조 전도 경로 형성 행정학과 오서은 포스트 성장주의(Post-growth) 태도의 영향요인 분석 - 환경 및 경제적 가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이소진 성별화된 위험이 야기하는 존재론적 불안: 청년여성의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실내건축학과 이수현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공간복지 관련 국내 연구 경향 분석 통합디자인학과 박은선 디자인 사고 교육의 비판적 성찰과 새로운 가능성 탐색 체육학과 SUN QIAN 한국과 중국 학교체육정책 연구동향 비교분석 스포츠응용산업학과 박동혁 Resting heart rate i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Korean adult: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제약산업학협동과정 윤예진 당뇨병 환자에서 치매 발병 및 인지기능에 대한 SGLT-2 억제제의 잠재적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의학과 허가영 식물성 단백질이 만성신부전 발생에 미치는 영향 보건학과 최서영 한국의 만성신질환의 유병과 심각성에 따른 고용과의 관계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김유정 국민건강보험 데이터와 동물 모델을 통한 Fexofenadine의 파킨슨병 약물로 서의재창출 치의학과 최한승 파노라마 방사선영상 기반 사랑니와 하악관 관계 자동 검출 인공지능 모델 구축 보건행정학과 임수빈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활용한 에티오피아인의 가족계획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작업치료학과 임승주 Age-specific findings on lifestyle and trajectories of cognitive functio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방사선융합공학과 이수민 Implementation of Visible monkey into general-purpose Monte Carlo codes: MCNP, PHITS, and Geant4 치위생학과 이정화 CRP수치와 치주질환 및 전신질환과의 관계 장려상 학위논문 국어국문학과 박시영 문학 이미지의 고유성과 보편성 연구- 김춘수와 김수영의 시를 예시하여 - 국어국문학과 이효진 농학생 대상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 습득 연구 –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을 기반으로 - 중어중문학과 QI ZHIXIA 중국어 반의복합어의 어휘화 연구 영어영문학과 백승민 "Of All the Mighty World of Eye and Ear": Bodies, Nature, and Cognition in Romantic Literature 사학과 김태홍 조선후기 평안도의 시장 발달과 견직업 연구 철학과 이선민 데카르트의 감각 관념과 질료적 거짓의 문제 철학과 이남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설과 실체적 생성의 문제 심리학과 박종철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구성개념 및 측정도구 개발 한국학협동과정 문혜영 외국인 근로자의 공공언어 이해를 위한 텍스트 분석 :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자료를 중심으로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이채형 해수면 온도편차 지속성 증가 추세와 그의 원인 규명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김성윤 리튬 이온 배터리의 멀티모달 진단 및 예후 건설환경공학과 김지훈 점군 데이터의 3차원 의미론적 분할 및 점군-이미지 변환 기법을 통한 비계 안전 관리 자동화 산업공학과 민경준 작업자의 작업능력을 고려한 작업자-로봇 협업 오더피킹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 산업공학과 이연주 몰입도 환경에 따른 아바타의 시각적 현실감이 자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생명과학부(생명공학) 양경직 효율적인 바이오의약품 경구 투여를 위한 점막 부착성 키토산 미세 캡슐 생명과학부(생명공학) 고민정 오토파지 및 동맥경화에서 미토콘드리아-소포체 연결막(MAM)의 역할과 이를 조절하는 저분자 화합물에 관한 연구 신학과 곽성혜 저시력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과 분리 개별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신학과 김누리 에스라 9–10장에서 나쉼 노크리욧의 기능과 활용 행정학과 지수호 성과관리와 조직의 역기능적 행태: 한국의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중심으로 언론홍보영상학과 이선호 정치적 쟁점에 관한 여론조사 보도의 프레이밍 효과와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학과 고윤화 디지털 시대 한국 음악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성장 – 탐험에 의한 활용, 교차 네트워크 외부효과, 마이크로 옴니보어- 사회학과 황유진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의 계층화: 가정 내 불평등을 중심으로 사회학과 REN GE 중국의 외동딸이 경험하는 가족 관계: 역할 기대와 수행을 중심으로 음악학과 홍수민 이홍석의 피아노 독주곡 연구 의류환경학과 오정민 양송이 버섯에서 추출한 키틴질 고분자를 이용한 오염물질 제거 다공성 멤브레인 개발 실내건축학과 오지은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이 장소 애착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체육학과 박소민 사이드 컷팅 중 인지부하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의 하지 생체역학에 미치는 영향 체육학과 정윤아 "4Foot-Ex"가 만성발목불안정성 환자들 발의 운동학에 미치는 영향 약학과 차민혜 아밀로이드 베타를 표적하는 저분자 화합물 및 펩타이드 기반의 알츠하이머병 신약 후보물질 발굴 제약산업학협동과정 이승하 피하주사 의약품 및 히알루로니다제 제형분석 의과학과 차지민 생후 초기단계의 특정 피부 공생 세균에 의해 유도되는 TSLP-제2형 선천림프구의 활성에 의한 알러지성 피부 염증 조절에 관한 연구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김종현 딥러닝 접근 방식을 사용한 세균성 패혈증 CD8+ T 세포의 형태와 유전자 발 현간의상관관계발견및검증 언어병리학협동과정 김나은 발화부족형 원발진행실어증의 담화과제별적합정보단위(CIU)비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윤경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가훈련프로그램이파킨슨병환자의 음성및삼킴기능에미치는효과 언어병리학협동과정 한소영 반복 타액 연하 검사 (RepetitiveSalivaSwallowingTest,RSST) :장·노년층의수행력및양호도검증 의학전산통계학협동과정 김영도 개별 가중치를 갖는 이분화 된 변수에 대한 수정된 카이 제곱 검정 방법 치의학과 JIN GAN 인공 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기반 3D 프린팅 레진의 기계 특성, 세포독성, 항균성 및 장기 불소 방출 성질에 대한 연구 치의학과 정동열 급성 치주 농양의 환자의 치료에서 미노사이클린 연고, 독시사이클린 용액을 적용한 경우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비교: 후향적 연구 치의학과 홍유리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타액 신경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임상 증상과의 상관관계 간호학과 김민지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의 조직회복탄력성 모델과 평가 도구 개발: 혼합연구 방법 이용 간호학과 이혜연 다문화 여성 청소년 대상 안전한 성행동 의도를 위한 챗봇 기반 성생식 헬스 리터러시 중재 개발 및 예비연구 보건행정학과 전희원 노인 말기신부전 환자의 측정 도구 간 삶의 질 비교 보건행정학과 강제구 생활인구와 지역의 건강결과 간 관계 분석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학술논문 국어국문학과 오세원 한국어 자기소개서 텍스트에서의 1인칭 주어 사용 양상 연구 - 에피소드 모델을 활용하여 - 중어중문학과 WANG YUELU 어기조사 啊와 呀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고찰 중어중문학과 송화영 현대중국어 ‘打+NP’ 구문의 결합가 관계와 의미 확장 연구 영어영문학과 Zhu, Jing Disrupting Conventional Representations of Time and Space in A Girl is a Half-formed ThingandHow to Wash a Heart 영어영문학과 정운형 Analyzing Lexical Simplification in Interviews of Donald Trump and Joe Biden: Tracking the Trend of Simplification in Presidential Discourse Using Lexical Sophistication Indices 철학과 박정은 실천적 지혜를 통해 살펴본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의 통일성 주장 심리학과 천정은 안전지대로서의 유사성: 유사성은 방어 초점이 강한 사람들에게 만족도로 이어진다 경영학과 황인서 소비자 신뢰도 향상을 위한 제품 전략의 구전 효과: 온라인 식품 유통 플랫폼을 중심으로 경영학과 김우경 스포츠 구단의 경기 성적 및 소셜미디어 운영이 팬덤의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팬 토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수학계산학부(수학) 오정태 Maximal functions associated to a family of flat curves in lacunary directions 물리학과 정동연 Axion quality problem and nonminimal gravitational coupling in the Palatini formulation 물리학과 현상철 Nonminimally Assisted Inflation: A General Analysis 화학과 이유진 나노그래핀을 활용하여 확장된 카바포피린 집게의 전하 전달 능력 화학과 강병주 안트라센 흡광체 간 연결성 변경을 통한 대칭성 파괴 전하 이동의 조절 화학과 이후승 카이랄 사이클로프로펜이민-티오우레아 유기 촉매를 활용한 알파-이미노나이 트릴의 입체 선택적 변화 지구천문대기학부 (지구시스템과학) 양우종 Fracture Morphology Influencing Supersonic CO2 Transport:Application in Geologic CO2 Sequestration 지구천문대기학부 (지구시스템과학) 윤원우 Effect of fracture characteristics on groundwater flow adjacent to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지구천문대기학부 (천문우주학) 김형한 Weak lensing detection of intracluster filaments in the Coma cluster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조윤재 Effect of Meteorological Data Assimilation on Regional Air Quality Forecasts over the Korean Peninsula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김동혁 봄철 ENSO/IOD와 관련된 남반구 준정체 행성파 활동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박진덕 이중 인식 유사도에 기반한 점진적 네트워크 정렬 방법론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김지연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활용한 2차원 난류의 예측 및 제어 화공생명공학과 오경석 실질적인 전고체 전지를 위한 황화물/고분자 혼성전해질의 이온 이동 현상 규명 화공생명공학과 최우진 Occlusive membranes for guided regeneration of inflamed tissue defects 화공생명공학과 조수영 Direct 4D printing of functionally graded hydrogel networks for biodegradable, untethered, and multimorphic soft robots 전기전자공학부 최동현 Nature-derived, biocompatible silibinin based bioresorbable neuromorphic device for implantable medical electronics 전기전자공학과 한현호 펄스폭 변조 프런트엔드를 갖춘 고도의 디지털 143.2dB DR Sub-1° 위상 오류 임피던스 모니터링 IC 전기전자공학과 지승현 Perovskite Light‐Emitting Diode Display Based on MoS2 Backplane Thin‐Film Transistors 건축공학과 오택근 Effect of High-Volume Substituted Nanosilica on the Hydration andMechanicalPropertiesofUltra-High-PerformanceConcrete(UHPC) 건축공학과 조호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 성능 향상: 환경 및 시스템 요인의 영향 건축공학과 최지용 Enhancing the thermal stability and fire retardancy of bio-basedbuildingmaterialsthroughpre-biocharsystem 건설환경공학과 김정훈 EICP 공법 기반 바이오 시멘테이션 지반에서 석고(CaSO4·2H2O) 형성을 통한 침출수 내 황산염 포집 기계공학과 오재호 Size-classified monitoring of ATP bioluminescence for rapid assessment of biological distribution in airborne particulates 기계공학과 윤마루솔 Design and fabrication of heat pip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for thermal management 기계공학과 이희민 Particle deposition dynamics in evaporating droplets using lattice Boltzmann and magnetic particle simulation 신소재공학과 권용원 두개골 상 액체 전자 장치의 고해상도 인쇄를 통한 소프트 신경 전극의 생체 내 통합 신소재공학과 서훈규 녹내장 진단을 위한 전방 및 유리체 안압 분포의 실시간 생체 내 모니터링 신소재공학과 김관호 변형가능한 상호보완적 수분유도 및 트라이보 에너지 하베스터 생명과학부(생명공학) 최진태 병원성 진균 크립토코쿠스 네오포만스의 하이브리드 RAVE 복합체의 V-ATPase-의존적 및 비의존적 병생물학적 기능 컴퓨터과학과 장지수 ReUSB: Replay-Guided USB Driver Fuzzing 컴퓨터과학과 서민혁 온라인 연속학습을 위한 등각표현 학습 인공지능학과 안대철 맥락 메모리를 갖춘 온라인 문장 증강을 통한 스토리 시각화 인공지능학과 최정환 협업 필터링을 위한 블러링-샤프닝 프로세스 모델 IT융합공학과 이지연 Spatiotemporally Controllable Electrical Stimulator via Independent Photobending and Upconversion Photoluminescence Using Two Different Wavelengths of Near-Infrared/Visible Light as Dual Stimuli 행정학과 정다해 지방정부의 지역문화재단 설립 요인 연구: 신제도주의 동형화 논의를 중심으로 행정학과 송지혜 정책자문 ODA가 개발도상국 정부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효과성 및 규제의 질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언론홍보영상학과 홍다예 메타버스 이용 동기와 사용자 유형 탐색 및 오프라인 활동에 미치는 영향 언론홍보영상학과 유정아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위한 이용자의 앱 추적 허용에 관한 메시지 전략 연구 의류환경학과 Tong, Zhenghao The effects of product-brand fit and brand type on wearable smart masks 실내건축학과 채수민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신체특성 반영공간 실내 이미지시각화 - 고령자 신체노화특성 반영과 추가학습 모델구축을 중심으로 실내건축학과 유영진 단독 주택 외관 시각화를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건축가 스타일 추가학습 모델 구축 및 활용방안 아동·가족학과 이지원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감과 자기통제의 종단적 관계가 성인 진입기 위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학과 조은호 한국형 미디어 리터러시 척도(K-NMLS)와 한국형 미디어 리터러시 단축형 척도(K-NMLS-SF)의 타당화 아동·가족학과 송수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교사 애착안정성과 우울 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체육학과 홍성용 럭비선수들의 부상 트라우마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스포츠응용산업학과 SUN, WANTING 리조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리조트 이미지와 MZ세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스포츠응용산업학과 방현 운동선수의 유명세가 지각된 운동선수 스캔들 심각성과 윤리추론전략 선택 및 용서 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응용산업학과 김민재 한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권장 신체활동량 달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분석 약학과 이선희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EGFR 억제제로서 Benzofuran 과 indole 이 융합된 신규 화합물의 합성 및 활성 평가 약학과 PIAO, ZHAOYAN Exploring the health literacy status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의학과 박찬욱 Preclinical and dose-ranging assessment of hESC-derived dopaminergic progenitors for a clinical trial on Parkinson's disease 의학과 이병민 대장암 환자의 폐전이에 대한 국소 절제 요법의 중요성 의학과 옥태동 Effect of Smoking Cessation on the Risk of Subarachnoid Hemorrhage: A Nested Case-Control Study in Korean Men 의과학과 고은희 지방조직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분비단백체는 IL-2에 의한 JAK-STAT 및 AKT 신호전달 경로를 CIS와 DUSP4의 상향조절을 통해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 의과학과 심아영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는 T2D-AD 마우스 모델에서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알츠하이머 유사 병리 및 인지기능을 개선합니다. 보건학과 박준수 한국 성인의 만성 호흡기 질환과 관련된 본인 부담 비용 의료기기산업학과 정현주 선별적 적용을 통한 의료기기 공급내역보고 제도 개선 연구 의료기기산업학과 홍민지 한국의 고혈압 의료비 지출 증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홍재성 망막 사진을 사용하여 자폐증 및 증상 중증도를 선별하는 딥 앙상블 개발 간호학과 김규아 소아 섬망에 대한 비약물적 중재 : 서술적 합성이 포함된 체계적 문헌고찰 의공학과 MUHAMMAD RIAZ Pulse Oximetry Imaging System Using Spatially Uniform Dual Wavelength Illumination 보건행정학과 남지웅 연도별 흡연율 및 간접흡연율 추이 분석: 2015-2020 작업치료학과 김인혜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방사선융합공학과 최형주 Feasibility study of spent fuel internal tomography (SFIT) for partial defect detection within PWR spent nuclear fuel 치위생학과 김유미 COVID-19 시대에 입대한 군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량광형광기 기술 활용
- 일반대학원 2024.08.02
- 첨부파일
-
79
- [2024-01-26]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 개최
-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 개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9편, 학과 우수논문상 46편, 장려상 97편 선정 대학원은 대학원생의 연구 의욕 고취와 내실 있는 대학원 학문 풍토 조성을 위해 1993년 이래 매년 대학원생 우수논문을 선정, 시상하고 있다. 특히, 2021학년도 2학기부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로 개편돼 수상 인원과 상금이 확대됐으며, 각 학문 분야의 연구를 더욱 장려하기 위해 단과대학 최우수논문, 학과 우수논문, 장려로 구분해 시상하고 있다.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 심사에는 각 학과와 단과대학에서 총 162편의 논문을 추천했다. 분야별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9편, 학과 우수논문상 46편, 장려상 97편이 최종 선정됐다. 1월 10일(수) 오전 10시 백양누리 최영홀에서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가 진행됐다. 각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들이 수상 논문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수상 소감을 발표했으며, 본인의 연구가 다양한 전공과의 융합 연구로 어떻게 확대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도 함께 나눴다. 이날 대학원 송현주 교학부원장은 “연세대학교 학부생들이 받는 가장 영예로운 상이 최우등상이라고 한다면, 대학원생이 받는 가장 영광스러운 상은 바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이 아닌가 생각한다.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게 된 모든 수상자들을 축하한다.”고 격려했다. 생명시스템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인 생화학과 허현빈 박사는 “이 뜻깊은 상은 지도 교수님과 동료들의 지원과 협력 덕분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논문을 작성하면서 연구에 대한 도전적인 탐구 정신과 열정을 갖게 됐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학문적인 성취를 위해 노력하고, 항상 겸손을 잊지 않고 성실히 연구에 전념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또한 교육과학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인 체육학과 조이슬 박사과정생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힘들게 준비한 논문인 만큼 많은 애정과 노력이 담겨 있다. 각각의 전공마다 하나의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다고 느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양한 전공의 분들과 협업해 연구를 진행해 보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수상자들의 논문은 다음과 같다. 구분 지원형태 소속 성명 논문제목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학위논문 경제학과 KOSTIULIN MAKSIM 실증적 거시경제학에 관한 에세이 경영학과 김주희 의인화적 반응: 인간과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상호작용 이해 생명과학부 (생화학) 허현빈 세포의 부착성과 부유성간의 전환 기전이 암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법학과 배상준 연성규범에 관한 공법적 연구 : 신사조행정법학과 연성규범의 관계를 중심으로 행정학과 박민정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경제조직의 협력: 사회혁신지표 개발과 네트워크 거버넌스 분석 간호학과 박세영 중환자실 간호사의 고위험약물 투약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임상의사결정 프로그램의 효과 학술논문 심리학과 정은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기술, 얼굴인식, 눈맞춤 향상을 위한 앱 기반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 : 무선통제실험 기반 예비 연구 지구천문대기학부 (지구시스템과학) 전현정 Evaluation of Heterogeneity Effect on CO2 Transport in Regularly Distributed and Natural Clast-Matrix Conglomerate Cores 화공생명공학과 권용현 Wafer-scale transistor arrays fabricated using slot-die printing of molybdenum disulfide and sodium-embedded alumina 컴퓨터과학과 최진우 Enabling Fine-Grained Spatial Multitasking on Systolic-Array NPUs Using Dataflow Mirroring 신학과 신수정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정치학과 유성훈 Types of foreign finance and slum upgrading: How do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foreign remittances affect slum upgrading across regime types in developing countries? 실내건축학과 이수현 주택 출입공간에 대한 1인 가구 여성의 범죄두려움 인식 연구: 저층 주거지역의 다세대·다가구 주택을 중심으로 체육학과 조이슬 인체의 도약 동작 향상에 기여하는 근건복합체 상호작용 탐구: 신전-단축 사이클 효과 약학과 차민혜 아밀로이드 용해 기전의 펩타이드 기반 신약후보물질 개발 의과학과 유구상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다양한 프라임에디터의 프라임에디팅 효율 예측 응용생명과학과 이승준 MAST4를 통한 정원줄기세포의 세포주기 조절 간호학과 지윤혜 간호사 연속성이 요도하열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융합 공학과 천보위 Experiment of proof-of-principle on prompt gamma-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G-PET) system for in-vivo dose distribution verification in proton therapy 학과 우수논문상 학위논문 국어국문학과 송다금 한국 서사 장르의 동물 담론 연구: 비판적 동물 연구(Critical Animal Studies)의 관점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과 JUNG JUN YOUNG 아포칼립스 서사의 양자 얽힘: 『내가 너를 구할 수 있을까』 와 『클라우드 아틀라스』의 서술적 멀티버스 불어불문학과 남정현 구어 코퍼스에 출현한 tu vois 의 의미 기능 연구: 언어, 소리, 몸짓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과 김세림 러시아어 동사 생략문 연구 철학과 마준석 헤겔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장과 타자의 실재성: 맥도웰의 주관내부적 해석에 대한 반론 비교문학협동과정 양미영 호메로스의 젠더관 - 『일리아스』의 여인들과 여신들을 중심으로 - 한국학협동과정 남미정 한국어 쓰기 자동 채점을 위한 언어 자질 탐색연구 건축공학과 남지희 상변화물질 혼합 목질건축자재의 열적성능평가 기계공학과 김지용 연속사용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체열회수 열전발전소자 문화인류학과 김현숙 Crafting Futures Beyond Return: An Ethnography of Queer Adoptee Activism and Belonging in South Korea 아동·가족학과 김윤경 갈등적 수줍음형 사회적 위축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교육학과 고명희 정약용의 영체로서의 인간관과 공부론 연구 의료기기산업학과 이준영 의료 AI의 의료진 사용 의도 요인 및 사회적 비용 편익 분석 의학전산통계학 협동과정 이홍강 고차원 군집분석에서 강력한 희소 K-평균 군집분석 물리치료학과 최종원 넘어짐 동안 고관절 운동학이 고관절 골절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논문 중어중문학과 송화영 현대중국어 ‘打+NP’ 구문의 인지적 의미 확장 연구 인지과학협동과정 조지은 군중의 집단 정서 판단에 있어서 얼굴 마스크의 영향 수학계산학부 (수학) 구도완 일차원에서의 입자 군집 최적화에 대한 수렴성 해석 물리학과 임현욱 고급 계면 상변화 물질: 구조적으로 제한되고 계면에서는 확장된 초격자 화학과 김영삼 2차원 및 3차원 하위층으로 구성된 준안정성 초격자에서 메타가 결합과 공유 결합 사이의 변환 지구천문대기학부 (천문우주학) 장재경 관측과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는 은하 형태학 분류 지표간 번역기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서민경 Effect of meteorological data assimilation using 3DVAR on high-resolution simulations of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s in East Asia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Tiantian Xu Efficient monolithic immersed boundary projection method for incompressible flows with heat transfer 전기전자공학과 이용우 ELASM: Error-Latency-Aware Scale Management for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도시공학과 김주영 Do localized housing programs lead to racial equity? Evidence from the State Housing Initiatives Partnership program 건설환경공학과 전시우 Cohesive Zone Modeling을 이용한 콘크리트 앵커인발파괴강도 예측 신소재공학과 정유진 자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유기재료의 자가조립 및 해체 생명과학부 (시스템생물학) 한민균 The HIGH EXPRESSION OF OSMOTICALLY RESPONSIVE GENE15-HISTONE DEACETYLASE9 complex associates with HYPONASTIC LEAVES 1 to modulate microRNA expression in response to abscisic acid signaling 생명과학부 (생명공학) 차준하 scHumanNet: 질병 유전자의 세포특이성 연구를 위한 단일세포 네트워크 분석 플랫폼 인공지능학과 최정환 GREAD: 그래프 뉴럴 반응-확산 네트워크 IT융합공학과 이하림 Urban Road Safety Prediction: A Satellite Navigation Perspective 디지털애널리틱스융합협동과정 유용상 KOMUChat :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 데이터셋 연구 행정학과 임소현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디커플링(decoupling)이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조직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이수빈 고등교육 내 수평적 계층화와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분화: 대학 서열, 전공, 젠더의 측면에서 본 현황 및 추이 언론홍보영상학과 강현희 해석 수준 이론을 적용한 사회적기업 관련 메시지 구성 전략 사회복지정책 협동과정 최하영 Patter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social isolation in young adulthood: Evidence from South Korea 생활디자인학과 Wu, Sindy The Co-creation of Luxury Brand Hedonic Experiences in Social Media: Luxury Brand Strategies from a Design Perspective 스포츠응용 산업학과 이태호 associations between different types of sedentary behavior and mental health : gender-stratified analyses among 97,171 south korean adolescents. 바이오융합 협동과정 MAO, JIASHUN 항 바이러스 약물 설계를 위한 트랜스포머 기반 분자 생성 모델 융합의학과 안수호 심층 신경망 기반의 환자 안전성 향상을 위한 MRI 조건부 페이스메이커 식별 자동화 의생명시스템 정보학과 이주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 오픈 라벨, 단일 센터, 무작위 대조 파일럿 시험 제약의료규제과학협동과정 이현우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에 대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의 신경보호 효과: 전국 인구기반 코호트 연구 의학과 이용준 당뇨병을 동반한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 중등강도 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복합요법 대 고강도 스타틴 단독요법에 대한 비교 연구 보건행정학과 허민희 군집분석을 활용한 지역별 건강격차 연구: 주관적 건강수준을 중심으로 작업치료학과 배수영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Yonsei Lifestyle Profile (YLP) in Japanese Adults 치위생학과 김수민 한국 성인의 일상생활과 입원 중 구강관리 행동의 차이
- 일반대학원 2024.07.04
- 첨부파일
-
78
- [2024. 6. 11.] 연세대,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 명예행정학박사 학위 수여
- 연세대,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 명예행정학박사 학위 수여 - 르완다 국가 발전 및 국제사회 공존과 평화 기여 - 연세대학교(총장 윤동섭)가 지난 5일 연세대 경영관 용재홀에서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에게 명예행정학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연세대는 폴 카가메 대통령이 내전으로 파괴된 르완다를 재건하고, 국가 발전과 국민복지 향상에 헌신적으로 기여하는 등 국가 거버넌스 강화 및 아프리카 통합 리더십을 높게 평가했다. 1957년생인 카가메 대통령은 2000년 3월 르완다 임시국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임명된 후, 2003년과 2010년, 2017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됐다. 그는 취임 후 인종, 종교, 민족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여성의원 할당제를 실시하는 등 평등과 평화의 정치를 실현했다. 실제로 현재 르완다 국회의원 중 하원 61.3%, 상원 34.6%가 여성의원이다. 특히 카가메 대통령은 르완다의 경제를 회복시키며 2000년대 초부터 연평균 7~8%에 달하는 고도 경제성장을 기록했으며, 농업, 관광, 서비스 산업 등도 큰 발전을 이뤘다. 뿐만 아니라 국영학교 의무 무상 교육을 통해 교육 기회 확대 및 인적 자원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AIDS와 말라리아 퇴치 등을 위해 의료보험을 의무화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정치, 사회적인 안정 속에서 공공이익에 역점을 둔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 르완다의 비즈니스 환경 개선 및 외국 투자가 증대된 결과, 르완다는 2015년 세계경제포럼이 선정한 정부 효율성 부분에서 세계 7위에 올랐으며, 2020년 세계은행이 선정한 비즈니스 환경 부분에서 전체 38위에 오른 바 있다. 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환영사에서 “카가메 대통령의 국가 지도자의 리더십과 분명한 비전이 국가와 국민의 운명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소개하며, “카가메 대통령의 혁신적인 정책 수행은 르완다의 경제 번영의 기초를 다지고, 보건의료 및 교육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정부의 모범”이라고 강조했다. 김현철 대학원장은 추천사를 통해 “여러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르완다 국민 대통합을 이끌어 국가를 재건하고, 르완다 경제의 지속가능성 및 국제사회의 공존과 평화를 위해 헌신한 지대한 공헌을 존중해 명예행정학박사 학위 수여를 추천한다.”고 말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2006년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 최초로 르완다를 방문했을 때, 쓰레기가 하나도 없이 깨끗한 거리를 보며 놀랐던 기억이 난다.”고 회상하며, “아프리카 국가들이 르완다 사례를 적극적으로 참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은 “백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학살의 역사 이후 정권을 잡은 뒤, 국민들의 연합과 일치를 최우선 목표로 정했다.”며, “국가 안보의 중요성만큼, 국가 발전을 위해 교육과 기술이 핵심이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르완다와 연세대의 긴밀한 협력을 기대하며, 활발한 파트너십을 이루게 돼 영광”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 일반대학원 2024.07.01
- 첨부파일
-
77
- [2024. 6. 10.] 연세대, 2024 첨단산업 특성화 대학원 지원사업 선정
- 연세대, 2024 첨단산업 특성화 대학원 지원사업 선정 - 배터리공학과 선정…연구책임자 이상영 교수 - - 설계와 운용 포함, ‘지능형 배터리 운용’ 인력 양성 - - 등록금 전액 지원, 35개 배터리 기업 참여 등 혜택 - 연세대학교(총장 윤동섭)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4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 대학원 지원사업 배터리 분야 연구개발과제(총사업비 187억, 5년)에 선정됐다. 이번 특성화 대학원은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제2024-091호)를 통해 확정됐으며, 이는 연세대가 정부에서 지정한 배터리 전문 인력 양성 기관으로서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에 필요한 배터리 인력 양성의 핵심적인 기관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세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초연결 기반과 산업체 수요 기반의 문제 해결형 배터리 인재 양성 교육 산학 거점’이라는 비전하에 미래의 중점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배터리 산업을 주도할 혁신 리더를 양성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재료 중심의 배터리 연구를 넘어, 설계 및 운용을 포함한 ‘지능형 배터리 운용’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배터리 인력 양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할 예정이다. 연구 책임자인 이상영 교수는 배터리 전문성을 갖추되, 다양한 분야의 초학제적 융합을 통한 실증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완성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또한, 핵심기술을 내재화할 수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축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번 배터리 특성화 지원사업의 선정으로 연세대는 정부 지원 연구개발비와 인프라 개발, R&D 연계 프로젝트에 집중해 급성장하는 분야의 리더로 부상할 준비를 마치고, 이달 17일부터 대학원생을 선발한다. 사업 선정과 동시에 2024년 2학기에 특별 선발 절차를 도입했으며, 선발된 학생에게는 연구 교육환경 제공과 더불어 등록금 전액 장학금을 지급해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다. 또한 특성화 대학원에 35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어, 다양한 산학협력 과제를 통해 학생들에게 배터리 재료, 설계 및 운용 부분의 연구와 실무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렇듯 연세대는 첨단 기술 분야, 특히 배터리 기술 분야에서 국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적극 부응하고자 하며, 배터리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학생의 지원을 장려하고 있다. 연세대 배터리공학과는 6월 17일(월)부터 21일(금)까지 2024학년도 후기 원서 접수를 진행하며, 자세한 사항은 배터리공학과 홈페이지(https://bce.yonsei.ac.kr/lgesbattery/) 또는 대학원 홈페이지(https://graduate.yonsei.ac.kr/graduate/)를 참고하면 된다.
- 일반대학원 2024.07.01
- 첨부파일
-
76
- [2024. 2. 26.] 연세대학교 2024년 2월 학위수여식 개최
- 연세대학교 2024년 2월 학위수여식 개최 -학사 2,779명, 석사 800명, 박사 464명 졸업 - 연세대학교(총장 윤동섭)가 2월 26일(월) 오전 11시 30분 대강당에서 2024년 2월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윤동섭 총장을 비롯한 교직원, 이경률 총동문회장, 학부모 등이 참석했으며, 학사 2,779명, 석사 800명, 박사 464명 등 총 4,043명이 학위를 받았다. 특히 이경률 총동문회장(의학79, SCL헬스케어그룹 회장)은 축사를 통해 “연세에서 배운 소중한 가치들이 어려운 순간마다 빛을 발하길 바란다.”고 졸업생들의 새로운 출발을 응원했다. 이어 화학과 최세림씨(이학석사)는 졸업생을 대표해 졸업 소감과 함께 부모님, 은사 및 선후배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전 학기 우수한 학업 성과를 이룬 졸업생에 대한 시상도 이뤄졌는데, 최·우등졸업생으로 글로벌인재대학 이준, 사회과학대학 이지현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윤동섭 총장은 학위수여식사를 통해 “코로나19라는 상황 속에서도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모두에 적응해 가며 학문에 대한 열정과 끈기를 보여준 졸업생 여러분께 박수를 보낸다.”며, “연세 동문으로서 소명 의식을 갖고, 연세의 개척정신을 기억하며, 넘어지는 일을 두려워 말고 용기 있게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출처: [2024. 2. 26.] 연세대학교 2024년 2월 학위수여식 개최 | 연세대학교 (yonsei.ac.kr)
- 일반대학원 2024.07.01
- 첨부파일
-
75
- 대학원 신입생을 위한 Gateway to Graduate School 행사 개최
- 대학원 신입생을 위한 Gateway to Graduate School 개최 2월 6일 오리엔테이션 신입생 5백여 명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 우리 대학교는 3월에 입학하는 대학원 신입생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행사 ‘Gateway to Graduate School’을 2월 6일 백주년기념관에서 개최했다. 이날 대학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행사는 약 5백여 명의 신입생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우리 대학교는 4단계 BK21 사업 등을 통해 학사 제도 및 교육·연구 환경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근본적인 대학원 체질 개선과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기존 오리엔테이션 행사가 교직원이 중심이 돼 준비하는 행사였다면, 이번 행사는 대학원 재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진행하는 학생주도형 행사로서의 취지가 크며, 실제 대학원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마련하는 대학원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날 축사를 통해 이원용 연구부총장 겸 대학원장은 BK21 대학원혁신사업의 핵심 목표인 ▲학생 수요자 중심의 학사 제도 개선 ▲대학원생 권익 증진 ▲학제간 융복합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 확대 ▲다양한 제도 개선과 비교과 프로그램 확대 ▲장학금 확대와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한 연구 몰입 환경 등을 설명하고, “연세의 ESG 가치와 사회 공헌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대학원 차원에서 실용적 연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대학원생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일반대학원 2024.02.13
- 첨부파일
-
74
-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 개최
-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 개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9편, 학과 우수논문상 46편, 장려상 97편 선정 대학원은 대학원생의 연구 의욕 고취와 내실 있는 대학원 학문 풍토 조성을 위해 1993년 이래 매년 대학원생 우수논문을 선정, 시상하고 있다. 특히, 2021학년도 2학기부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로 개편돼 수상 인원과 상금이 확대됐으며, 각 학문 분야의 연구를 더욱 장려하기 위해 단과대학 최우수논문, 학과 우수논문, 장려로 구분해 시상하고 있다.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 심사에는 각 학과와 단과대학에서 총 162편의 논문을 추천했다. 분야별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19편, 학과 우수논문상 46편, 장려상 97편이 최종 선정됐다. 1월 10일(수) 오전 10시 백양누리 최영홀에서 ‘대학원 최우수논문 시상식 및 수상자 간담회’가 진행됐다. 각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들이 수상 논문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수상 소감을 발표했으며, 본인의 연구가 다양한 전공과의 융합 연구로 어떻게 확대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도 함께 나눴다. 이날 대학원 송현주 교학부원장은 “연세대학교 학부생들이 받는 가장 영예로운 상이 최우등상이라고 한다면, 대학원생이 받는 가장 영광스러운 상은 바로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이 아닌가 생각한다.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게 된 모든 수상자들을 축하한다.”고 격려했다. 생명시스템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인 생화학과 허현빈 박사는 “이 뜻깊은 상은 지도 교수님과 동료들의 지원과 협력 덕분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논문을 작성하면서 연구에 대한 도전적인 탐구 정신과 열정을 갖게 됐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학문적인 성취를 위해 노력하고, 항상 겸손을 잊지 않고 성실히 연구에 전념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또한 교육과학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인 체육학과 조이슬 박사과정생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힘들게 준비한 논문인 만큼 많은 애정과 노력이 담겨 있다. 각각의 전공마다 하나의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다고 느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양한 전공의 분들과 협업해 연구를 진행해 보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2023학년도 2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수상자들의 논문은 다음과 같다. 구분 지원형태 소속 성명 논문제목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학위논문 경제학과 KOSTIULIN MAKSIM 실증적 거시경제학에 관한 에세이 경영학과 김주희 의인화적 반응: 인간과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상호작용 이해 생명과학부 (생화학) 허현빈 세포의 부착성과 부유성간의 전환 기전이 암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법학과 배상준 연성규범에 관한 공법적 연구 : 신사조행정법학과 연성규범의 관계를 중심으로 행정학과 박민정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경제조직의 협력: 사회혁신지표 개발과 네트워크 거버넌스 분석 간호학과 박세영 중환자실 간호사의 고위험약물 투약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임상의사결정 프로그램의 효과 학술논문 심리학과 정은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기술, 얼굴인식, 눈맞춤 향상을 위한 앱 기반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 : 무선통제실험 기반 예비 연구 지구천문대기학부 (지구시스템과학) 전현정 Evaluation of Heterogeneity Effect on CO2 Transport in Regularly Distributed and Natural Clast-Matrix Conglomerate Cores 화공생명공학과 권용현 Wafer-scale transistor arrays fabricated using slot-die printing of molybdenum disulfide and sodium-embedded alumina 컴퓨터과학과 최진우 Enabling Fine-Grained Spatial Multitasking on Systolic-Array NPUs Using Dataflow Mirroring 신학과 신수정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정치학과 유성훈 Types of foreign finance and slum upgrading: How do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foreign remittances affect slum upgrading across regime types in developing countries? 실내건축학과 이수현 주택 출입공간에 대한 1인 가구 여성의 범죄두려움 인식 연구: 저층 주거지역의 다세대·다가구 주택을 중심으로 체육학과 조이슬 인체의 도약 동작 향상에 기여하는 근건복합체 상호작용 탐구: 신전-단축 사이클 효과 약학과 차민혜 아밀로이드 용해 기전의 펩타이드 기반 신약후보물질 개발 의과학과 유구상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다양한 프라임에디터의 프라임에디팅 효율 예측 응용생명과학과 이승준 MAST4를 통한 정원줄기세포의 세포주기 조절 간호학과 지윤혜 간호사 연속성이 요도하열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융합 공학과 천보위 Experiment of proof-of-principle on prompt gamma-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G-PET) system for in-vivo dose distribution verification in proton therapy 학과 우수논문상 학위논문 국어국문학과 송다금 한국 서사 장르의 동물 담론 연구: 비판적 동물 연구(Critical Animal Studies)의 관점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과 JUNG JUN YOUNG 아포칼립스 서사의 양자 얽힘: 『내가 너를 구할 수 있을까』 와 『클라우드 아틀라스』의 서술적 멀티버스 불어불문학과 남정현 구어 코퍼스에 출현한 tu vois 의 의미 기능 연구: 언어, 소리, 몸짓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과 김세림 러시아어 동사 생략문 연구 철학과 마준석 헤겔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장과 타자의 실재성: 맥도웰의 주관내부적 해석에 대한 반론 비교문학협동과정 양미영 호메로스의 젠더관 - 『일리아스』의 여인들과 여신들을 중심으로 - 한국학협동과정 남미정 한국어 쓰기 자동 채점을 위한 언어 자질 탐색연구 건축공학과 남지희 상변화물질 혼합 목질건축자재의 열적성능평가 기계공학과 김지용 연속사용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체열회수 열전발전소자 문화인류학과 김현숙 Crafting Futures Beyond Return: An Ethnography of Queer Adoptee Activism and Belonging in South Korea 아동·가족학과 김윤경 갈등적 수줍음형 사회적 위축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교육학과 고명희 정약용의 영체로서의 인간관과 공부론 연구 의료기기산업학과 이준영 의료 AI의 의료진 사용 의도 요인 및 사회적 비용 편익 분석 의학전산통계학 협동과정 이홍강 고차원 군집분석에서 강력한 희소 K-평균 군집분석 물리치료학과 최종원 넘어짐 동안 고관절 운동학이 고관절 골절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논문 중어중문학과 송화영 현대중국어 ‘打+NP’ 구문의 인지적 의미 확장 연구 인지과학협동과정 조지은 군중의 집단 정서 판단에 있어서 얼굴 마스크의 영향 수학계산학부 (수학) 구도완 일차원에서의 입자 군집 최적화에 대한 수렴성 해석 물리학과 임현욱 고급 계면 상변화 물질: 구조적으로 제한되고 계면에서는 확장된 초격자 화학과 김영삼 2차원 및 3차원 하위층으로 구성된 준안정성 초격자에서 메타가 결합과 공유 결합 사이의 변환 지구천문대기학부 (천문우주학) 장재경 관측과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는 은하 형태학 분류 지표간 번역기 지구천문대기학부 (대기과학) 서민경 Effect of meteorological data assimilation using 3DVAR on high-resolution simulations of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s in East Asia 수학계산학부 (계산과학공학) Tiantian Xu Efficient monolithic immersed boundary projection method for incompressible flows with heat transfer 전기전자공학과 이용우 ELASM: Error-Latency-Aware Scale Management for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도시공학과 김주영 Do localized housing programs lead to racial equity? Evidence from the State Housing Initiatives Partnership program 건설환경공학과 전시우 Cohesive Zone Modeling을 이용한 콘크리트 앵커인발파괴강도 예측 신소재공학과 정유진 자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유기재료의 자가조립 및 해체 생명과학부 (시스템생물학) 한민균 The HIGH EXPRESSION OF OSMOTICALLY RESPONSIVE GENE15-HISTONE DEACETYLASE9 complex associates with HYPONASTIC LEAVES 1 to modulate microRNA expression in response to abscisic acid signaling 생명과학부 (생명공학) 차준하 scHumanNet: 질병 유전자의 세포특이성 연구를 위한 단일세포 네트워크 분석 플랫폼 인공지능학과 최정환 GREAD: 그래프 뉴럴 반응-확산 네트워크 IT융합공학과 이하림 Urban Road Safety Prediction: A Satellite Navigation Perspective 디지털애널리틱스융합협동과정 유용상 KOMUChat :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 데이터셋 연구 행정학과 임소현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디커플링(decoupling)이 자발적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 조직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이수빈 고등교육 내 수평적 계층화와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분화: 대학 서열, 전공, 젠더의 측면에서 본 현황 및 추이 언론홍보영상학과 강현희 해석 수준 이론을 적용한 사회적기업 관련 메시지 구성 전략 사회복지정책 협동과정 최하영 Patter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social isolation in young adulthood: Evidence from South Korea 생활디자인학과 Wu, Sindy The Co-creation of Luxury Brand Hedonic Experiences in Social Media: Luxury Brand Strategies from a Design Perspective 스포츠응용 산업학과 이태호 associations between different types of sedentary behavior and mental health : gender-stratified analyses among 97,171 south korean adolescents. 바이오융합 협동과정 MAO, JIASHUN 항 바이러스 약물 설계를 위한 트랜스포머 기반 분자 생성 모델 융합의학과 안수호 심층 신경망 기반의 환자 안전성 향상을 위한 MRI 조건부 페이스메이커 식별 자동화 의생명시스템 정보학과 이주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 오픈 라벨, 단일 센터, 무작위 대조 파일럿 시험 제약의료규제과학협동과정 이현우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에 대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의 신경보호 효과: 전국 인구기반 코호트 연구 의학과 이용준 당뇨병을 동반한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 중등강도 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복합요법 대 고강도 스타틴 단독요법에 대한 비교 연구 보건행정학과 허민희 군집분석을 활용한 지역별 건강격차 연구: 주관적 건강수준을 중심으로 작업치료학과 배수영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Yonsei Lifestyle Profile (YLP) in Japanese Adults 치위생학과 김수민 한국 성인의 일상생활과 입원 중 구강관리 행동의 차이
- 일반대학원 2024.01.26
- 첨부파일
-
73
- 2023 대학원생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책제안 및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개최
- 대학원생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책 제안 및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학원생 휴식과 충전을 위한 안식주 제도 도입’ 최우수상 수상 [사진. (왼쪽부터) 사회학과 김영미 교수, 도시공학과 구한민 학생, 보건학과 전하제 학생, 대학원 송현주 교학부원장] 대학원(원장 박승한 연구부총장)은 11월 22일(수) 백양누리 김순전홀에서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학원생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정책 제안 및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대학원은 4단계 BK21 사업 등을 통해 학사 제도 및 교육·연구 환경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근본적인 대학원 체질 개선과 대학원생 인권 보호 등 권익 강화를 통해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작년에 이어 진행된 이번 공모전은 대학원생 좌담회 등을 통해 강의실, 연구실 등 학교에서 직접 겪고 있거나 경험했던 여러 불편한 부분들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면 좋겠다는 건의에서 출발했다. 특히 올해 공모전은 대학원생의 휴식과 재충전과 관련된 특정 주제에 한정해 개최했으며, 교내 인권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공정한 심사를 진행했다. ‘대학원생 휴식과 충전을 위한 안식주 제도 도입’이라는 제안으로 최우수상을 수상한 구한민 학생(도시공학 통합과정)은 “생각지도 못했는데 뜻밖의 상을 받게 돼 영광이며,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충분한 휴식을 통해 본인의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데 조금이나마 저의 제안이 도움이 됐으면 한다. 앞으로도 대학원생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활발히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연세 대학원생 건강 지킴이 프로그램’이라는 제안으로 우수상을 수상한 전하제 학생(보건학 석사과정)은 “이번 공모전이 대학원생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다양한 건강 관련 프로그램 개설을 통해 올바른 휴식 문화를 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학원 송현주 교학부원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앞으로도 BK21 대학원혁신사업의 핵심 목표인 ▲학생 수요자 중심의 학사 제도 개선 ▲대학원생 권익 증진 ▲학제 간 융복합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 확대 ▲다양한 제도 개선과 비교과 프로그램 확대 ▲장학금 확대와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한 연구 몰입 환경 개선 등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을 발표하고, “대학원생의 인권 보호와 권익 개선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대학원 차원에서 복지 및 권익 증진이 될 수 있도록 대학원생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일반대학원 2023.11.24
- 첨부파일